
1.1. 네트워크 표준화▷ 배경정보통신기술은 자사의 모델을 중심으로한 통신 위주로 발전 -> 타사 제품 컴퓨터 간의 통신문제 대두네트워크 사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통일시키는 것이 필요했다.▷ 1983년 ISO에서 OSI 모형을 제시ISO (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): 국제표준화기구OSI (Open Systems Interconnection)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접속: 서로 다른 통신 시스템간에 원활한 통신을 이루기 위해 ISO가 제안한 통신 H/W, S/W에 대한 표준안 1.2. 프로토콜 ▷ 통신에 참여하는 장치들(송신기, 수신기, 중간 노드들)이 효과적인 통신을 위해 지켜야 할 규칙▷ 통신 프로토콜 - 통신 원하는 두 개체 간에 ..

❓ TCP/IP vs OSI 모델 OSI 모델: 표준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다양한 통신 시스템이 통신할 수 있도록 국제표준화기구에서 만든 개념 모델이다. OSI는 상이한 컴퓨터 시스템이 서로 통신할 수 있는 표준을 제공한다.TCP/IP 모델: 인터넷에서 컴퓨터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 받는데 쓰이는 프로토콜의 집합.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 (Internet Protocol Suite)라고도 부른다. TCP/IP와 OSI의 차이점은 실무와 이론의 차이이다. OSI 7계층은 참조 모델(reference model)로 사실상 이론적인 개념. 현재의 TCP/IP 계층이 더 실무적인 구조에 가깝다. TCP/IP는 실용적인 프로토콜 모음이고 OSI는 프로토콜 독립적인 개념 모델이다. 즉, OSI는 여러 통신 방식에 대한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알고리즘
- sass
- AI Challeng for Biodiversity
- 이브와ICT멘토링
- 무한스크롤
- 디바운싱
- react-query
- style-lint
- 캡스톤디자인
- git
- React Query
- Next.js
- 최적화
- eslint
- 네트워크
- 패키지 매니저
- 쓰로틀링
- 핀터레스트
- Tanstack-Query
- web
- react
- prettier
- Tanstack Query
- Firebase
- 티스토리챌린지
- github
- Masonry 레이아웃
- 오블완
- zustand
- Networ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