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1.1. 데이터 통신(Data Communication)
Data
: text, numbers, images, audio, video, message
Communication
: the exchange of data
Data Commnication
: 무선 또는 유선 형태의 전송 매체를 통헤 정해진 규칙(즉, 통신 프로토콜)에 따라 두 장치 간에 데이터로 표현되는 정보를 교환하는 과정
1.2.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기본 특성
- 전달(delivery): 정확한 목적지에 전달, 원하는 장치나 사용자에게 전달.
- 정확성(accuracy): 데이터를 정확하게 전달
- 적시성(timeliness): 데이터를 적정 시간 내에 전달
- 파형 난조(jitter): 패킷 도착 시간이 서로 조금씩 달라서(패킷이 고르지 않게 전달되어) 음성이나 동영상 품질(quality)이 일정치 못함.
1.3. 데이터 통신 구성 요소
메시지(Message): 통신대상이 되는 데이터; 문자, 숫자, 그림, 소리, 영상 또는 이들의 조합
송신자(Sender): 데이터 메시지를 보내는 장치; 컴퓨터, 전화기, 비디오 카메라 등
수신자(Receiver): 메시지를 받는 장치; 컴퓨터, 전화기, TV
전송매체(Medium): 송신자에서 수신자까지 이동하는 물리적인 경로; 꼬임쌍선, 동축케이블, 광케이블, 레이저 또는 무선파
프로토콜(Protocol): 데이터 통신을 통제하는 규칙들의 집합(상호 합의)
1.4. 데이터 흐름 방향
1.4.1. 단방향 방식(simplex mode)
- 한쪽 방향으로만 통신이 가능
- 한 지국은 송신만, 다른 한 지국은 수신만 가능
- 예: 자판, 모니터

1.4.2. 반이중 방식(half-duplex mode)
- 각 지국들은 송, 수신이 가능
- 각 지국간 동시에 송신 불가
- 예: 워키토키, 민간방송용 라디오(CB radio)

1.4.3. 전이중 방식(full-duplex mode)
- 양쪽 지국간 동시에 송/수신이 가능
- 양방향으로 통행이 가능한 2차선 도로와 같음
- 신호는 링크의 용량을 공유해서 양방량으로 전달
- 예: 전화

2.1. 네트워크(network)
- 통신 링크에 서로 연결된 장치(node, 컴퓨나 프린터)의 모임
- 작업을 여러 컴퓨터에 나우어 처리하는 분산처리(distributed processing)에 사용
2.2. 네트워크 평가기준
- 성능(performance): 전달시간(transit time), 응답시간(response time), 처리율(throughput)과 지연(delay)
- 신뢰성(reliability): 고장의 빈도 수, 고장 난 후 링크를 복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
- 보안(security): 불법적인 접속이나 바이러스로부터 보호
2.3. 물리적 구조: 연결 유형
2.3.1. 점-대-점 회선 구성(point-to-point line configuration)
- 채널의 전체 용량은 두 기기간 전송을 위해서 사용
- 케이블이나 전선, 극초단파나 인공위성 연결과 같은 방식도 가능
- 텔레비전 채널을 바꿀 때 사용하는 적외선 리모컨

2.3.2. 다중점(multipoint, multidrop)
- 3개 이상의 특정 기기가 하나의 링크를 공유하는 방식
- 채널의 용량을 공간적으로 또는 시간적으로 공유

2.4. 네트워크 유형
자신의 컴퓨터 네트워크는 그 규모 및 목저그 또는 그 구조 및 이용되는 기술에 따라서 매우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


2.4.1. 근거리 통신망(LAN)
- 개인소유 또는 단일 사무실, 건물 혹은 학교 등에 있는 장치들을 서로 연결하여 자원 공유를 목적으로 설계

2.4.2 광역통신망(WAN)
- 국가, 대륙 또는 전세계를 포괄하는 광대역 영역에 데이터, 음성, 영상 및 비디오 정보의 장거리 전송 제공
- 거리 제한이 없음
- 통신회사가 임대를 목적으로 만들어 사용

2.4.3. 도시권통신망(MAN)
- 큰 도시 또는 캠퍼스에 퍼져 있는 컴퓨터 네트워크이다.
- LAN과 WAN의 중간 크기를 갖는다.
- DSL 전화망, 케이블 TV 네트워크를 통한 인터넷 서비스 제공이 대표적인 예이다

3.1. 인터넷(Internet)
- TCP/IP 기반의 네트워크
- 수 천 개의 상호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로 이루어짐
3.2. 인터넷의 탄생
1972년 Vint Cerf와 Bob Kahn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패킷을 전송하는 중계 하드웨어 역할을 하는 게이트웨이(Gateway) 개발
3.2.1. TCP/IP
- 1973년 종단-대-종단 패킷 전달을 위한 프로토콜 제안
- 1977년인터넷시연(ARPANET,패킷라디오,패킷위성)
- 네트워크간 연결 프로토콜을 TCP/IP로 부르기 시작
- 1981년 UNIX 운영체제에 TCP/IP 포함 배포
- TCP/IP가 ARPANET의 공식적인 프로토콜이 됨
3.2.2. 오늘날의 인터넷
- 월드 와이드 웹(WWW) : CERN 에 있는 팀 바너스리에 의해 개발
- 멀티미디어 : voice over IP(telephony), video over IP(skype), view sharing(YouTube), television over IP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응용
- 대등-대-대등 응용 : peer-to-peer 네트워크
'Programming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네트워크] HTTP 프로토콜 (1) | 2024.03.07 |
---|---|
[네트워크] 프로토콜 스택 (OSI 7계층 ,TCP/IP 5계층) (0) | 2024.03.07 |
TCP/IP 3-Way, 4-Way Handshake, 흐름제어&혼잡제어 (0) | 2024.02.04 |
API (HTTP API, REST API) (0) | 2024.01.15 |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style-lint
- eslint
- 네트워크
- AI Challeng for Biodiversity
- 무한스크롤
- 쓰로틀링
- zustand
- react
- 알고리즘
- react-query
- 티스토리챌린지
- git
- Tanstack-Query
- Network
- Masonry 레이아웃
- Tanstack Query
- 패키지 매니저
- sass
- Firebase
- web
- React Query
- github
- Next.js
- 최적화
- 핀터레스트
- 오블완
- prettier
- 이브와ICT멘토링
- 디바운싱
- 캡스톤디자인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